메뉴

유승원의 건강칼럼 - 당뇨병의 슬기로운 식생활

 

중년의 나이에 접어든 박 선생은 10년 이상 당뇨병 비만으로 고통을 받아오다가 당뇨 식생활 개선 프로그램에 도움을 받고 당뇨 치료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고 한다.

 

현대인의 당뇨란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사용 하는데 식후에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액으로 운반되어온 포도당을 간장 근육에 저장 혈액 속에 포도당이 너무 높지 않게 조절해 주는데 당뇨병은 인슐인 분비가 부족해 제1형 인슐린 부족 당뇨병 또는 제2형 비의존형 당뇨병(인슐린 저항성이 생겨 혈당조절이 원만 하지 못한 것)이 나타난다.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95%는 비만형 또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인데 운동 부족 과다 영양 섭취 등으로 발생한다.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항상 피로 하며 갈증으로 물을 많이 마시고 먹어도 배가 고프고 소변을 자주 보며 거품이 뜨고 냄새가 역겨우며 발기부전으로 고통 받는다.

 

당뇨병 환자 어떻게 먹어야 하나?

하나. 자신에게 처방된 에너지 섭취 양을 준수 하며 식단을 짜서 식이요법을 해야 한다. 그러므로 정상혈당을 유지하며 비만 치료에 도움이 된다. 비만은 고지혈증 동맥경화 지방간 심장병 고혈압 이외에도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10배 이상이다. 체중을 줄이면 혈당조절이 정확하므로 식품교환권으로 식사를 준비한다.

 

. 에너지 3대 영양소 (지방 단백질 탄수화물)중 탄수화물은 곡류로 대신하며 흰쌀보다 현미 보리밥 콩 팥 조조 대신 좋고 밀가루를 피하면 좋다.

 

. 채소를 흡수하면 섬유소가 소화 흡수를 늦추고 콜레스테롤을 낮추기에 당뇨환자는 반드시 지켜야 한다. 동물성 기름보다 식물성기름 육식 동물보다 등 푸른 생선 해조류가 좋다.

 

. 규칙적으로 식사하며 저 혈당 예방한다. 규칙적인 식사는 저혈당을 예방 하고 과식도 방지 하며 에너지 균형이 깨어지지 않으며 저혈당이 되면 식은땀이 나고 맥이 빠지며 손발이 떨리고 가슴이 열이 나며 심박동이 빨라지고 혼수가 온다. 밤에 간식을 하면 혈당이 높여 병을 악화시킨다.

 

다섯. 식이요법으로 추천하고 싶은 음식은 완두콩과 하늘 수박 (천화분)을 같은 양으로 물에 끓여 식은 다음 가재에 받쳐 냉장고에 보관 물마시고 싶을 때 마신다. 또한 야콘 구아마 참다래(키위)을 얇게 썰어 믹서에 갈아 1컵 마신다. 13~4회 야콘은 고구마 같이 생긴 남미 식품. 구아마는 서인도 제도 수입 과일.

또는 두릅 해동피순 돼지감자를 돼지 췌장 각 50g을 냄비에 넣고 고아 복용하거나 산적을 만들어 복용하며 술을 마시던 사람은 삼백초 600g 해당화 뿌리 300g 설화초(동충하초100g)에 약초가 잠길 만큼 술을 부은다음 1.2개월 담궈 1잔씩 마시면 좋다.

 

유승원 박사 / 유승원 한의원 원장



총회

더보기
이욥 총회장 직무정지 가처분 2심도 기각
김OO 목사, 차OO 목사, 김OO 목사 3인이 이욥 총회장을 상대로 제기한 직무집행정지가처분이 항고심에서도 기각 판정을 받았다. 서울고등법원 제25-1 민사부는 지난 3월 25일 사건번호 2025라2147 직무집행정지가처분에 대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그 보전의 필요성에 대한 소명이 부족해 이유 없다. 그뿐만 아니라 가처분 채무자의 적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와 결론을 같이해 채권자의 가처분신청을 기각한 1심 결정은 결과적으로 정당하고, 채권자의 항고는 이유 없으므로 이를 모두 기각하며, 항고비용은 패소한 채권자들이 부담하기로 한다”고 판결했다. 채권자 3인은 법원에 1심 결정을 취소하고 총회장 선출결의 무효확인 사건의 본안판결 확정시까지 이욥 총회장의 직무를 정지시켜달라고 재차 요구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법원은 “이 법원도 채권자의 가처분명령신청은 그 피보전권리에 대한 소명이 부족하고, 보전의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판단한다”며 판결 이유를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항고 이유로 들고 있는 주장들이 1심에서 내세운 주장과 실질적으로 별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법원은 “대표자의 선임 결의 효력에 하